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논어3

[논어 01_학이편] 학이시습지 불역열호(學而時習之, 不亦說乎)? 주마간산 공부 흉내, 동양고전 읽기 첫 책으로 논어 시작하고 있습니다. 제1편 학이편입니다. 학이편에 나오는 좋은 구절들 모아봅니다. 학이편(學而篇)학이편은 논어의 첫 번째 편으로, 여러 중요하고 유명한 구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 그중 가장 대표적인 구절들을 원문과 함께 소개하겠습니다.   학문과 실천의 기쁨子曰: "學而時習之, 不亦說乎? 有朋自遠方來, 不亦樂乎? 人不知而不慍, 不亦君子乎?"자왈: "학이시습지, 불역열호? 유붕자원방래, 불역락호? 인불지이불온, 불역군자호?"공자께서 말씀하셨다. "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?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?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면 또한 군자답지 아니한가?"이 구절은 학문의 즐거움, 친구와의 교류의 기쁨, .. 2025. 1. 4.
[동양고전] 공자의 제자들, 공문십철(孔門十哲)과 증자 자사 | 논어 주마간산 동양고전 읽기 논어 편, 두 번째 시간입니다. 이번에는 공자의 제자 가운데 공문십철 열 제자와 증자, 자사까지 열 두 제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   📍 목차공문십철과 증자 자사안회(顔回)민자건(閔子騫)염백우(冉伯牛)중궁(仲弓)재아(宰我)자공(子貢)염유(冉有)자로(子路)자유(子游)자하(子夏)증자(曾子)자사(子思)맺음말  공문십철과 증자 자사공문십철(孔門十哲)은 '공자의 문하에서 가장 뛰어난 열 명의 제자'를 의미합니다. 여기서 '공문(孔門)'은 공자의 문하를 뜻하고, '십철(十哲)'은 열 명의 현인을 의미합니다.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포함됩니다.  공문십철(孔門十哲)1. 안회(顔回) - 공자의 수제자로, 덕행이 뛰어났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했습니다.2. 민자건(閔子騫) - 덕행이 뛰어난 제자 중.. 2025. 1. 4.
[동양고전] 논어(論語)와 공자(孔子) 공부할 것은 많고, 배울 것도 많고, 하고 싶은 것도 많은 중년. 그러나 시간은 빨리 달아나고 남아 있는 시간은 보는 앞에서 줄어들고, 에혀~! 안되것다 주마간산 공부흉내라도 내자, 잡은 첫 책이 논어(論語). 논어와 공자 살펴봅니다.   논어논어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중국 고대의 유교 경전입니다. 공자의 사상과 가르침을 담고 있으며, 유학의 기본 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1. 기본 구조논어는 보통 20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각 편은 여러 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전체적으로 총 482장, 600여 문장을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. 대부분의 논어 책들은 이 기본 구조를 따르고 있습니다. 논어의 20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.상론 (上論) 10편1. 학이(學而)2. 위정(.. 2025. 1. 4.
반응형